티스토리 뷰
개기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할 때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구 대기를 빛이 통과할 때 붉은빛만 굴절되어 달에 도달하고 그로 인해 붉은 보름달이 형성됩니다.
개기월식은 정말 쉽게 보기 힘든 우주의 자연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학자들이나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큰 관심사입니다.
그래서 이 과정을 찍기 위해서 개기월식 예보가 전해지면 촬영을 원하는 분들은 미리부터 만반의 준비를 합니다.
한 프레임으로 다 찍는 건 불가능해서 보통은 여러 컷의 사진을 월식이 진행되는 동안 찍어놓고
나중에 합성하는 방식으로 사진을 완성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기월식의 다양한 정보도 살펴보고 갤럭시가 촬영 때 환영받은 이유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슈퍼 블루문은 왜 생길까?
개기월식이 진행되면, 태양은 지구 뒤에서 그림자를 만들어서 달을 가려버립니다.
또 지구는 달에 직사광선이 비치는 것을 차단해 버립니다. 그러면 개기월식이 완성됩니다.
그런데 이때, 달이 지구에 근접해서 평소의 보름달보다 훨씬 더 크고 밝게 보인다면 슈퍼문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블루문은 19년마다 7번씩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뜨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두 번째로 뜨는 보름달을 블루문이라고 합니다.
이 두 가지가 합쳐지면 비로소 슈퍼 블루문을 완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붉은 보름달은 또 뭘까?
흔히 블러드 문이라고도 불리는 붉은 보름달은 서두에서 언급한 것처럼 개기월식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지구 그림자의 어두운 부분이 달 표면을 가리면서 생기게 됩니다.
원래의 햇빛은 지구의 대기로 진입하면서 가스나 먼지 요소, 수분 요소 등에 의해서 부딪히고 산란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산란은 색에 따라 지속 시간이 달라집니다.
푸른색 계열은 산란이 빠르게 이루어지지만 붉은색 계열은 산란이 늦습니다.
늦어지다가 달까지 도달하게 되면 붉은 보름달을 형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개기월식 '댄존 등급'
댄존 등급은 개기월식이 진행될 때, 달을 얼마나 잘 관측할 수 있는가를 프랑스 천문학자인 '루이스 댄존'이
등급 화해서 만들어놓은 관측 지표입니다.
개기월식이 진행될 때에도 지구의 대기 상태는 항상 다릅니다.
대기 중에는 필수적으로 수분과 먼지가 분포해 있는데, 이 농도가 강하면 관측이 당연히 쉽지가 않습니다.
또한 큰 화재나 화산 폭발처럼 큰 현상이 일어난 직후에는 대기가 뿌옇고 흐립니다.
'댄존'은 가장 어두운 단계인 0등급부터 가장 관측하기 좋은 4등급까지 지표를 만들어서,
사람들이 개기월식을 관측하고자 할 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개기월식과 개기일식은 헷갈리지 말자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개기월식은 태양 / 지구 / 달 순서로 일직선일 때를 말합니다.
개기일식은 태양 / 달 / 지구 순서로 일직선일 때를 말합니다.
월식은 지구가 태양의 광선이 달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발생하고, 일식은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면서 나타납니다.
개기월식은 지구의 넓은 영역에서 관찰이 가능하고, 일식은 좁은 벨트 모양 영역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월식은 진행되는 시간이 꽤 길지만, 일식은 짧게 진행됩니다. 30초 만에 끝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월식은 맨 눈으로 보아도 관측이 가능하지만, 일식은 특수 안경을 필요로 합니다.
마지막으로 두 현상은 함께 나타날 때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과학적인 가치
도대체 개기월식이 발생하면 발생한 거지, 왜 이걸 촬영하고 관심을 가지는지 의문을 가지신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전문가들이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는 이유는 달에 생기는 변화 때문입니다.
NASA는 미 항공우주국입니다. 당연히 우주의 현상들과 천체들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집단입니다.
NASA는 어떤 현상 이후의 달의 표면에 생기는 변화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지구가 태양 빛을 가리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해 달 표면의 온도 변화가 극심해지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달의 표면이 열을 잃는 시간, 열에 의해 열을 받는 시간, 표면이 변형되는 경우, 유지되는 경우, 토양의 성분 등등
이 현상으로 인해 달의 변화를 관찰하다 보면 달이라는 행성에 대해 얻는 정보가 보다 풍성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미 항공우주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들은 우주선을 직접 달에 보내기도 합니다.
그러면 착륙을 할 곳이 필요한데, 어디에 착륙할지, 어디가 안전한가 하는 정보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고 합니다.
개기월식 사진은 아이폰보다 갤럭시가 낫더라
최근의 개기월식이 진행되었을 때,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이 장면을 놓치지 않기 위해 촬영을 진행했고, 대다수는 본인의 스마트폰을 활용했습니다.
SNS에는 개인들이 촬영한 개기월식 사진들이 속속 등장했습니다.
갤럭시와 아이폰은 사람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기종에 속해서 이 기종들로 촬영한 사진이 대다수였습니다.
하지만 똑같은 최신폰임에도 개기월식 사진은 갤럭시가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아이폰의 경우 빛 번짐 현상으로 인해 월식 장면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고,
갤럭시의 경우 달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차단된 모습이 완벽하게 촬영되었다고 합니다.
삼성전자는 에픽 카메라 성능을 홍보해 왔습니다.
쿼드 렌즈와 광각 렌즈, 스페이즈 줌, 슈퍼 클리어 렌즈, 나이토 그래피와 같은 소프트웨어가 잘 융합되어
최상의 결과를 낸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 역시 광각 렌즈, 트리플 렌즈, 네 가지 정도의 망원 줌 옵션을 갖추고 있지만
달 사진에서는 아쉬운 성능을 보여주고 말았습니다.
아무튼 스마트폰으로도 아름다운 달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훌륭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향후 다른 우주쇼를 관람할 기회가 생기신다면 도전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난방 텐트
- 동물 등록증
- 겨울 난방비 절약 방법
- 12월 서울 근교 추천
- 2024 부모 급여
- 탄소 매트
- 개기월식 달 붉은 이유
- 자급제 단점
- 대체복무 급여
- 바리스타 물품
- 바리스타 창업 비용
- 자급제 유심
- 노인 정부 지원
- 난방비 절약
- 노인 치아
- 임대차3법 개정
- 입대차 3법 위반
- 틀니 혜택
- 대체복무 요원
- 갤럭시 s23 울트라 개기월식
- 가스비 절약 방법
- 동물 등록 비용
- 죽변 해안 스카이레일
- 동물 등록 관리 시스템
- 자급제 장점
- 전월세 계약
- 실거래 신고 의무
- 고양이 등록
- 예숙체육요원
- 연말 정산 미리보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